티스토리 뷰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속도로와 서울시내에는 버스만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용차로가 있습니다. 비단 버스 뿐만이 아니라 다수의 인원이 특정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차량들은 해당 버스전용차로를 통행 할 수 있는데 기준과 이를 위반했을 시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

 

1. 버스전용차로 구분

버스전용차로 기준버스 전용차로 구분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기 위해서는 일단 구분할 줄 알아야 피할 수 있겠죠? 버스전용차로는 운전하시는 분들이 보면 바로 알수 있도록 청색으로 구분을 해놓았는데, 점선의 경우 필요에 따라 일시 진입가능 구간, 실선의 경우 절대 진출입 불가한 구간, 단선의 경우 시간제 운영구간, 복선은 전일제 운영구간 등 다들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으므로 잘 파악하는게 좋겠습니다.

 

 

청색 1줄, 2줄에 따라 단속시간 기준도 나뉘어져 있네요. 모두 외워서 구분하기 힘드니 가장 편한건 전용차로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2. 버스전용차로 통행 가능 차량 기준

버스전용차로 통행가능 차량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뭔가 공익적이고 특수한 목적이 있거나 긴급한경우 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용을 보면 대형 승합자동차, 마을버스, 통학버스 등이 있고 소방차가 가능하다고 고시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승용차 운전자들은 해당 사항이 없다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3.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는 상기 사진 속 표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승용차 혹은 4톤 이하 화물차는 5만원으로 책정되었고 승합차, 4톤 초과 화물자동차는 6만원으로 고시되어 있습니다.

 

 

50% 감경이 가능한 조건들도 명시되어 있으니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해당사항이 있다 하더라도 인증서류가 필요하니 꽤 까다로울 듯 합니다. 만약 납부 마감일이 지나면 연체료 처럼 일정금액 가산금이 부과되니 위반 시 빠른 시일내에 과태료를 부과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버스

 

지금까지 버스전용차로 위반 과태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법이란게 의도치 않게 몰라서 위반하는 경우도 종종 있고 특히 교통에 관련된 법규는 과태료 뿐만이 아닌 안전에 직결되어 있으니 잘 구분하셔서 법규를 잘 준수하도록 안전운전 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