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초가 밝았습니다. 연초가 되면서 연말정산 준비 슬슬 하실텐데 오늘은 월세 세액공제 대상 알아보려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월세가 세액공제 대상이 되는걸 모르는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니 오늘 이시간에 월세도 연말정산에 보탬이 되니 그부분 잘 기억하시고 도움받으시기 바랍니다.

 

월세 세액공제 대상

 

우선 연말정산에서 크게 나뉘는것은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입니다. 이 두가지를 기억하시면 어려운 연말정산도 사실 별거 없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에 관련한것은 아래 링크 참고하시어서 확실히 알아두시면 도움되실겁니다.

 

 

소득공제 세액공제 차이

안녕하세요. 2020년이 한달밖에 안남았습니다. 연말이라 바쁠법한데 이번년도는 코로나때문에 아주 쥐약인거 같습니다. 여튼 연말도 오고 해서 오늘은 소득공제 세액공제 차이가 무엇인지 확인

dajiyo.tistory.com

 

 

해당글 확인하신걸 전제하에 설명드리자면 월세는 소득공제가 아닌 세액공제 대상입니다. 소득을 공제하는게아니라 세금을 공제해주는것이기에 직접적으로 큰 금액으로 와닿을것입니다. 월세 세액공제는 매달 내는 월세를 세액으로 공제를 해주는것이기에 매달 월세를 내고 있는 직장인분들이라면 희소식일 수 있습니다.

 

 

우선 본인이 매달 월세를 내고 있다 하면 월세 세액공제 대상인지 체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누구나 쉽게 해주는것이 아니기에 그 조건을 확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월세 세액공제 대상 첫번째 무주택세대주이거나 세대원이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무주택주어야 하며 과세기간동안은 거주중인 배우자나 세대원 모두 무주택자여야지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에 본인은 무주택자일지라도 세대주 및 세대원 중 한명이라도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아쉽게도 대상자에서 제외됩니다. 

 

 

두번째 월세 세액공제 대상등본상의 주소지와 계약서상의 주소지가 일치해야 합니다. 이건 어찌보면 정말 당연한 이야기로밖에 볼 수 없습니다. 내가 현재 월세를 내며 살고 있는곳과 등본상의 주소와 계약서의 주소가 일치한다. 이것만 지켜주시면 됩니다.

 

 

마지막 월세 세액공제 대상으로는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고수익자는 월세공제를 받지 못한다 이것입니다. 

 

 

과세기간동안 총급여가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에 대해서 총 월세금액의 10%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또 5,500만원 이하인자에 대해서는 총 월세금액의 12%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급여액에 따라서 10~12%의 세액공제를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월세 세액공제 무한대로 받을 수 있는것이 아니라 한도도 있습니다. 한도대상금액은 1년간 750만원이므로 본인이 1년동안 낸 월세금액이 1000만원이라고 가정한다면 한도대상금액인 750만원까지만 인정해서 연말정산을 해준다는 이야기입니다. 

 

 

의료비 공제한도 공제대상 세액공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얼마 남지 않은 연말을 기념하여 연말정산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의료비 공제한도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의료비로 지출하는 돈도 연말정산에서 공제를 해

dajiyo.tistory.com

 

대부분 월세금액이 평균 50만원이라고 하면 600만원정도이니 웬만한 월세금액은 소득공제 한도금액에 들어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만약 본인이 매달 월세를 내고 있으며 세액공제 대상에 속한다면 다음 월세 세액공제 서류들을 준비해야 합니다. 첫번째로는 주민등록등본이 필요하며 두번째로는 임대차계약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금영수증이나 계좌이체영수증등과 같은 월세를 납입했다는걸 증명할 수 있는 서류들을 준비해주셔야 합니다.

 

 

월세 세액공제 신청방법은 회사에 해당 서류들을 준비해서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회사에서 아마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자료와 함께 제출하라고 이야기를 해줄겁니다. 근데 회사에서 처리해주는것이 싫다 내가 직접 하고싶다 하시는분들을 위한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직접하는 월세 세액공제 신청방법은 홈택스 접속하시면 됩니다. 홈택스 접속하시어서 상담/제보 메뉴에서 현금영수증 민원신고로 이동하신 뒤 주택임차료(월세)메뉴를 클릭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해당 메뉴 접속하시어 로그인 한뒤 순차적으로 메뉴 진행해주시면 무탈하게 이용하실 수 있으리라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월세 세액공제 대상 및 서류와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명하게 챙기셔서 환급 많이 받아보시기 바랄게요. 코로나로 힘든데 환급 많이 받아야 하지 않을까요!

 

 

댓글